용어 | 설명 |
---|---|
TTP | Trusted Third Party (제3 신뢰기관)으로 암호화 키 발급 관리를 위한 독립기능으로 구성하고 보건의료 빅데이터에서는 보건복지부가 TTP 역할 수행 |
랜덤키 | TTP에서 연구데이터를 이용신청 단위 (요청 데이터 셋)로 발급하는 난수값 |
결합키 | 데이터 제공기관 데이터의 유의미한 결합을 위한 연결 속성 정보로 해시함수를 암호화한 키 |
통합결합키 | 각 기관별 데이터를 연구수행이 가능한 의미있는 데이터로 생성하기 위해 결합키를 이용하여 결합하는 작업 |
개인정보 비식별화 |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정보의 일부를 삭제, 대체하거나 다른 정보와 결합하지 못하도록 하여 특정 개인을 알아볼 수 없도록 하는 조치 |
폐쇄망 분석센터 | 외부로의 데이터 반출 등 보안유지를 위하여 인터넷으로부터 단절된 폐쇄환경으로 연구자는 이 곳에서 연구를 진행하고 개인정보가 없는 분석결과 값만을 반출 가능 * 폐쇄망 분석센터에 관한 자세한 내용은 자주하는 질문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.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