보건의료 빅데이터 플랫폼은
보건의료 빅데이터 활용을 통한 국민건강향상을 비전으로
의료 질향상 및 보건의료 정책 개선, 보건의료 빅데이터의 안전하고
투명한 활용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.
운영처리 프로세스
보건의료 빅데이터 플랫폼이란?
보건의료 빅데이터 플랫폼 사업의 정보시스템으로서, 아래와 같은 기능을 가집니다.
- 보건의료 빅데이터 신청
- 보건의료 빅데이터 심의결과 확인
- 보건의료 빅데이터 연계
- 보건의료 빅데이터 비식별화
- 보건의료 빅데이터 개방 (폐쇄환경 열람)
보건의료 빅데이터 플랫폼의 자료 연계방식
- 보건의료 빅데이터 플랫폼에서는 고유식별번호를 활용하며, 이들 정보와 제3의 신뢰기관(TTP*)이 발급한 랜덤키값을 결합해 사용합니다.
* 제3의 신뢰기관(Trusted Third Party) : 각 데이터 제공기관과 분리된 제3의 기관으로서, 안전한 연계 키 발급을 목적으로 하는 기관
- 안전한 개인 식별키 관리를 위해 단방향 암호화(해쉬) 함수를 사용합니다.
폐쇄환경이란?
- 연계된 자료를 연구자가 열람할 때, 외부로 데이터를 반출하지 않고 인터넷으로부터 단절된 폐쇄환경에서만 열람하도록 합니다.
- 폐쇄환경은 국민건강보험공단,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서 운영하는 시설을 사용합니다.
용어설명
용어설명 - 용어, 설명으로 구성
용어 |
설명 |
TTP |
Trusted Third Party (제3 신뢰 기관)으로 암호화 키 발급 관리를 위한 독립 기능으로 구성하고 보건의료 빅데이터 플랫폼에서는 보건복지부가 TTP 역할 수행 |
랜덤키 |
TTP에서 연구데이터 이용 신청 단위(요청 데이터 셋)로 발급하는 난수값 |
연계키 |
데이터 제공기관 데이터의 유의미한 결합을 위한 연결 속성 정보로 해시함수로 암호화한 키 |
연계 |
각 기관별 데이터를 연구수행이 가능한 의미 있는 데이터로 생성하기 위해 연계 키를 이용하여 결합하는 작업 |
개인정보 비식별화 |
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정보의 일부를 삭제, 대체 하거나 다른 정보와 결합하지 못하도록 하여 특정 개인을 알아볼 수 없도록 하는 조치 |
폐쇄망 분석센터 |
외부로의 데이터 반출 등 보안유지를 위하여 인터넷으로부터 단절된 폐쇄환경으로 연구자는 이 곳에서 연구를 진행하고 개인정보가 없는 분석결과 값만을 반출 가능
* 폐쇄망 분석센터에 관한 자세한 내용은 자주하는 질문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.
|